인천치과 부평 변색된앞니를 재신경치료와 미백치료 앞니 올세라믹 크라운을 이용하여 앞니 재치료 했던 케이스 치료 과정 및 앞니 재치료시 레진코어의 중요성

앞니 라미네이트 앞니 올세라믹 재치료

인천 부평구 김동건 바른치과 원장입니다. 저의 임상 케이스 이야기를 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주력으로 하는 치료인 ‘앞니 심미’ 치료에 대해서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치료 했던 케이스를 바탕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앞니 심미치료 중에서도, 본 케이스는 앞니 재치료 케이스 입니다. 

 

 

오래 전에 치료 크라운으로 씌웠던 한 개의 앞니가 변색이 되었고, 그 변색으로 인해서 주변 치아와의 색 차이가 났던 케이스 입니다.

 

변색된 치아는 신경치료를 했던 치아였고, 앞니 재신경치료를 먼저 하고, 치아 미백 그리고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를 순차적으로 해야 했던 케이스 입니다. 

 

 

변색된 앞니 재치료를 위한 필수 과정 3가지

변색된 앞니를 다시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치료 과정이 필수적 입니다.

1. 앞니 재신경치료 ( 미세현미경을 이용 )

2. 치아 미백 ( 실활치 미백 )

3. 러버댐을 이용한 레진코어

앞니 재신경치료와 치아 미백을 동반한 앞니 재치료의 실제 치료 과정

앞니변색 앞니미백 앞니라미네이트
인천 부평 앞니치료 앞니 변색 앞니 재치료 앞니 라미네이트

이번 포스팅의 주인공은 위에 앞니 입니다. 

오래전에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 치료를 했던 치아 입니다. 

 

자세히 보면 옆의 치아들에 비해서 치아 하나가 유난히 까만 모습입니다.

옆에 치아는 라미네이트를 한 상태였고, 이 까만 치아 하나는 신경 치료 후에 올세라믹 크라운을 한 상태였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신경치료 했던 뿌리 부분에 염증이 생겼고, 치아 내부에서 변색이 생겼습니다.

치아 안쪽에서 레진코어 및 신경치료 했던 재료들이 치아와 결합이 깨져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인천 부평 앞니치료 앞니라미네이트 올세라믹크라운

이 치아의 상황을 교합면에서 살펴보면, 다른 치아에 비해서 앞으로 나와 있습니다.

 

처음에 만들 때는 옆에 치아들과 같은 선에서 만들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아래 치아들이 조금씩 틀어지면서 이 위에 앞니 치아를 밖으로 밀어내는 힘을 준 것 같습니다.

변색된 앞니 재치료를 위한 치료 계획

1.뿌리끝의 염증을 제거하기 위한 재신경치료
2.치아의 변색을 해소하기 위한 미백치료
3.기존의 크라운 보다 더 심미적이고 투명한 재료를 이용한 올세라믹 크라운치료
4.치아가 다시 밖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치료 후 보호 목적의 스플린트 장치

기존에 있던 골드 인레이를 제거하고 나니, 생각보다 충치가 심했습니다. 사진으로 보기에도 충치가 보통이 아닌것 같아 보이죠? 골드인레이 밑에 가려진 치아 부분은 양치질을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2차 충치가 생긴다는 것은 치아와 기존 수복물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금과 치아 사이를 메우고 있던 접착제들이 모두 녹아서 없어진 상태가 된다는 뜻 입니다. 

입안의 침과 세균과 음식물들에 의해서 치아는 서서히 썩게 되고,  썩은 양상이 점점 커지게 되면, 그때는 지금과 같이 치아가 아프게 됩니다. 

인천 부평 앞니 변색
인천 부평 앞니 재신경치료
인천 부평 치과 레진 코어 앞니 레진빌드업

재신경치료를 위해서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존의 재료들을 제거하는 모습입니다.

 

 

치아 내부가 까맣습니다.

 

 

레진코어와 치아의 접착이 깨져있습니다.

 

 

 

레진코어를 하는 과정은 치료의 안정성과 예후에 아주 중요합니다.

 

단단한 접착제와 레진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법을 이용하여 레진코어를 만들어놔야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레진코어의 치료 비용이 높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입니다.

 

 

 

오른쪽 하늘색 바탕의 사진은 레진 코어를 하기 직전의 사진입니다.

 

 

 

치아의 재신경치료를 마무리하고, 치아 미백을 통하여 치아의 색을 하얗게 만들었습니다.

 

하얀 도화지 위에다가 그림을 그려야 예쁜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레진 코어를 할때도 치아에 ‘방습’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안은 침이 많고 습도가 높은 환경입니다.

 

 

 

레진코어를 할 때 사용하는 레진이라는 래료는 수분이 없어야 접착력이 높아집니다.

 

그래야 오랫동안 입안에서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안정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러버댐이라는 고무를 이용하여 치료할 치아와 입안을 분리하는 과정이 필수적 입니다.

 

그리고 나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레진코어를 새로 합니다.

인천 부평 동암역 앞니치료

본 케이스에서는 레진코어를 위한 접착제는 Kerr 회사의 Optibond FL을 이용하였습니다.

접착력이 아주 우수한 재료 입니다.

 

그리고 치아의 내면의 벽에는 흐름성이 좋고, 물성이 단단한 Majesty flow 레진을 이용하여 얇게 상아질을 코팅 해줍니다.

그리고 내면에는 Bleach white 색의 패커블 레진을 이용하여 적층 충전을 합니다.

 

레진이라는 재료는 아주 널리 쓰이고 좋은 재료이지만, 중합 수축이라는 단점도 갖고 있는 재료 입니다.

중합이라는 화학적 과정을 거치면서 단단해집니다

레진은 필연적으로 그 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납니다.

많은 양의 레진을 한꺼번에 중합 시키면, 수축 되는 양도 큽니다.

그러면 레진의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레진을 차곡차곡 여러번에 나눠서 쌓아야 합니다.

레진빌드업 치료를 할 때도 여러번에 나눠서 레진을 쌓는 이유도 같은 이유 입니다.

이제 이 치아는 본격적인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를 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인천 부평 동암역 앞니치료

올세라믹 크라운을 만들기 위해서는 치아의 본을 떠야 합니다.

위와 같이 치아의 본을 떠서 치아 모델을 만듭니다.

올세라믹 크라운은 치과에서 만드는 것은 아니고, 치과 기공소로 보내져서 제작이 됩니다.

수십가지의 포셀린 파우더 중에서 이 환자가 갖고 있는 투명감과 색을 재현하기 위하여 기공사분들은 이론적 지식과 경험을 조합하여 크라운을 만듭니다.

치과에서는 환자분이 갖고 있는 정보 제대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구강내의 사진도 많이 찍고 때로는 얼굴사진도 많이 찍어서 기공소로 전달을 합니다.

 

 

본 케이스에서는 옆에 치아들이 라미네이트라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라미네이트의 색이 조금 어두운 편이었기 때문에, 그 색에 맞추는 과정이 녹록치 않았습니다.

 

 

여러개의 크라운을 제작해야 했고, 그 중에서 최대한 비슷한 색을 내는 올세라믹 크라운을 선택하여 치료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여러개의 크라운을 한 번에 제작하게 되면 동일한 색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에 이미 크라운이나 라미네이트 같은 보철물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앞니 한 개만 치료 한다면 완벽하게 동일한 색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라미네이트 또는 올세라믹 크라운 모두 포셀린 파우더를 이용해서 색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인천 부평 미세현미경 재신경치료

치료 전 후의 x-ray 사진

치료 전 – 뿌리 끝에 염증으로 인해서 까맣게 치조골이 흡수된 양상이 관찰 됩니다. 

치료 후 – 재신경치료가 잘 된 것이 확인 됩니다.  옆에 라미네이트 치아들과 비슷한 느낌을 내기 위하여 이멕스 계열의 올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한 것이 x-ray에서 보입니다.

인천 부평 동암역 앞니치료

앞니 재치료 후의 사진입니다. 

옆에 라미네이트를 했던 치아들과도 차이점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럽게 치료가 완성 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은 의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의료법 제56조 및 의료법 시행령 제23조를 준수하여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작성하였습니다.  

본 케이스의 결과는 이번 케이스에만 해당 하는 것이므로 모든 케이스에 일률적인 결과가 나오길 힘들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치과치료 이후에는 치아과민증, 잇몸염증, 발적, 출혈, 부종, 통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을 안내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김동건 바른치과에 내원하시어 상담 바랍니다. 

여기에 제목 텍스트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