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빌드업으로 최소삭제 치료 컨셉을 이용하여 치아 신경치료 없이 충치치료를 했던 케이스에 대한 이야기

레진빌드업

인천 부평구 김동건 바른치과 원장입니다. 저의 임상 케이스 이야기를 하는 공간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많이 하고 있는 치료인 ‘레진빌드업’치료에 대해서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치료 했던 케이스를 바탕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위에 사진은 깊은 충치가 있던 치아를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레진빌드업 치료방법을 이용해서, 치아 신경치료 없이 치료를 마무리 했던 케이스 입니다.

김동건 바른치과 유튜브에서는 이번 케이스에 대한 치료과정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Labomed 미세현미경을 사용하였고, 외장 카메라는 sony a7알파2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습니다.

레진 빌드업 치료 vs 일반 레진 치료의 차이점

치과에서 사용하는 레진(Composite Resin) 치료는 크게 일반 레진 치료와 레진 빌드업(Build-up) 치료로 나뉩니다. 두 치료법은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방식과 목적이 다릅니다.

일반 레진 치료란?

레진 빌드업 치료란?

 

구분일반 레진 치료레진 빌드업 치료
목적작은 충치 치료깊고 넓은 충치 치료
레진 사용량적음많음 (여러 층 쌓음)
치료 시간비교적 짧음길어질 수 있음
비용낮음상대적으로 높음
내구성제한적튼튼함

레진빌드업 치료과정

레진빌드업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은 위에 어금니 입니다. 오래전에 금으로 인레이를 했던 치아가 시리다고 김동건 바른치과에 오셨습니다. 금 인레이 주변에 바람을 불고 찬 것을 대는 검사를 했더니 매우 시려하셨습니다. 

원인 치아를 찾았습니다. 

그럼 왜 시릴까요? 겉으로 얼핏 보기에는 그렇게 시릴만한 이유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미세현미경 레진빌드업 러버댐 치아 충치치료

시린 원인을 알아야 치료 방법을 결정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원인을 더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랬더니, 치아 뒷 부분에서 살펴보니, 골드인레이와 치아 사이에 큰 틈새가 보였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바람을 부니 시린 증상이 심하였습니다. 골드 인레이 밑에 2차 충치가 생긴 것이 시린 증상의 원인 이었습니다. 

최소삭제 충치치료 레진빌드업

기존에 있던 골드 인레이를 제거하고 나니, 생각보다 충치가 심했습니다. 사진으로 보기에도 충치가 보통이 아닌것 같아 보이죠? 골드인레이 밑에 가려진 치아 부분은 양치질을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2차 충치가 생긴다는 것은 치아와 기존 수복물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금과 치아 사이를 메우고 있던 접착제들이 모두 녹아서 없어진 상태가 된다는 뜻 입니다. 

입안의 침과 세균과 음식물들에 의해서 치아는 서서히 썩게 되고,  썩은 양상이 점점 커지게 되면, 그때는 지금과 같이 치아가 아프게 됩니다. 

미세현미경 레진빌드업 레진치료 러버댐 최소삭제

미세현미경을 보면서 충치를 제거한 모습입니다. 이때 충치는 까맣거나 갈색으로 보인다고 모두 제거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행성인 충치들은 모두 제거를 하고,  진행이 멈춘 충치와 치아는 남겨두어야 합니다. 

충치라는 것은 진행되다가 멈추기도 하는 역동적인 병입니다.  치아 신경이 살아 있다면, 가능한 보존할 수 있는 치아들을 많이 남겨 두는 것이 치아의 수명을 늘리는데 유리 합니다. 

이런 것을 연구한는 치의학의 분야를 Cariology(치아우식학)이라고 부릅니다. 

미세현미경 최소삭제 레진빌드업 치료

충치가 깊고 넓었던 부분에는 파이버 재질로 된 이노드라는 재료를 추가적으로 넣습니다. 레진이라는 재료는 필연적으로 단단해지면서 양이 수축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중합수축이라고 부릅니다. 

중합수축양을 줄이기 위해서, 레진을 여러번에 나눠서 만들어갑니다. 중합수축을 줄여줄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이런 파이버 재질의 재료를 레진 사이에 게재시키는 것 입니다. 

레진의 전체적인 물성을 높여줍니다. 

레진빌드업 치료

그렇게 해서 레진빌드업 치료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치료 전과 비교해보면, 치료한 이후에도 어떤 부분을 치료 했는지 티가 나지 않습니다. 레진빌드업은 치아가 본래 가지고 있던 해부학적 모양을 재현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인레이치료보다도 치아와의 적합도( 치아와 정밀하게 붙는 정도) 가 높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치료 했는지 티가 나지 않습니다. 그만큼 치료의 완성도가 높습니다. 

가끔 환자분들중에 인레이 치료 후에 “시큰하다”는 증상을 말씀하시며 치과에 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세라믹 인레이 치료는 굉장히 난이도가 높은 치료입니다. 박리다매로 인레이치료를 하는 치과에서는 20-30만원에 인레이치료를 합니다. 그 비용을 받고 제대로된 인레이 치료를 하기는 거의 불가능 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낮은 가격으로 빠른 시간 내에 인레이 치료를 하게 되면, 치아와 인레이의 접착이 완벽하게 될 수 가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치료 후에 “시큰하다”는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시큰함”을 다시 해결하기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치료를 잘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게 낮은 퀄리티의 인레이를 다시 레진빌드업 또는 세라믹 인레이로 재치료하는 것은 성공률이 처음치료 하는 것 보다는 낮습니다. 즉, 시큰한 증상이 완전히 사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레이를 했던 치아의 범위가 클 수록, 그리고 시간이 많이 경과 했을 수록 해결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사실들을 알고서, 인레이치료던 레진빌드업이던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인레이 치료이던 레진빌드업이던 둘다 좋은 치료이지만,  각각 상황에 맞는 더 좋은 치료를 받기 추천드리며,  낮은 가격( = 낮은 퀄리티)으로 치료 하시는  것도 신중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재치료 하는 것은 치료 비용도 많이 들고, 치료의 성공률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본 포스팅은 의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의료법 제56조 및 의료법 시행령 제23조를 준수하여 김동건 바른치과에서 작성하였습니다.